235
11
김범준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인공지능의 초기 발전에 크게 기여한 두 명의 과학자에게 2024년 노벨 물리학상이 수여되었다. 1982년 존 홉필드(John Hopfield)는 여러 인공신경세포로 구성된 연결망의 구조를 제안해 정보의 저장과 기억 회상의 과정을 구현했고 1985년 제프리 힌튼(Geoffrey Hinton)은 통계물리학의 볼츠만 확률분포를 적용한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최초의 생성형 인공지능을 구현했다. 현재 대부분 인공지능은 인공신경망의 구조를 이용한다. 현대의 많은 생성형 인공지능의 발전에 초석을 놓은 것이 바로 1980년대 홉필드와 힌튼의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인공지능이 빠르게 발전해 이미 우리 현대인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홉필드와 힌튼에게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한 위원회의 결정에 크게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참고로 존 홉필드는 통계물리학 분야의 노벨상이라고 할 수 있는 볼츠만 메달(Boltzmann medal)을 2022년 수상하기도 했다. 홉필드의 인공신경망
최정모부산대학교
2024년 노벨 화학상은 데이비드 베이커(David Baker, 1962-), 데미스 허사비스(Demis Hassabis, 1976-), 존 점퍼(John Jumper, 1985-)라는 세 명의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베이커가 “계산 기반 단백질 설계(computational protein design)”라는 업적으로 절반의 상금을, 허사비스와 점퍼가 “단백질 구조 예측(protein structure prediction)”이라는 업적으로 절반의 상금을 나눠 받는다. 이 글에서는 이들의 업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 분야에 대한 배경 설명을 한 후,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을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단백질은 생명체 안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분자이다. 몸의 구조를 이루기도 하고, 다양한 화학 반응을 매개하기도 하며, 여러 물질의 균형을 맞추기도 한다. 그래서 각 단백질은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정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체
8
김기덕막스플랑크 고체연구소
전자의 포개짐과 자성 지난 글에서는 물질 전체가 자기적 성질을 띠기 위해서는 원자 자석들 사이에 귓속말이 필요하다는 점을 소개했다. 냉장고 문에 만들어놓은 게시판에서 최첨단 반도체까지 다양한 곳에 사용되는 자석(강자성체)의 성질은 이웃하는 원자 자석들 사이에 서로 같은 방향을 가리키자는 귓속말 덕분에 가능한 물리적 현상이다. 이렇게 귓속말로 전달되는 메시지는 한 종류만 있는 것은 아니다. 원자 자석의 배열은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일례로 이웃하는 원자 자석들이 서로 반대 방향을 가리키자는 메시지가 전달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원자 자석의 방향이 번갈아 가며 바뀌는 반자성체가 된다. 지난 글에서 예고했듯이 이번 글에서는 원자 자석 사이의 귓속말이 어떤 원리로 전달되는지에 대해 소개하려 한다. 교실에서 친구들의 메시지를 훔쳐 듣는 것도 어려운데, 나노미터보다 작은 단위에서 원자 자석들 사이에 전달되는 귓속말을 엿듣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심지어는 이렇게 전달되는 언어는 일상의
2818
김상훈동지여자고등학교 교사
많은 교사가 공통으로 늘 가지고 있는 고민이 하나 있을 겁니다. 학생들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며, 하더라도 과연 그것이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도움이 될지에 대한 불안이 큰 숙제로 남아 있습니다. 그러던 와중 ‘APCTP 및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공동 주최하는 독후감 대회와 에세이 대회를 알게 되었습니다. 학생들의 과학적 역량을 기를 수 있으며, 인문적 소양도 같이 함양하며 더불어 성취감을 얻기 힘든 학생들에게 무언가를 할 수 있다는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활동임을 확신했습니다. 다양한 시행착오와 준비를 하면서 결국 학생들은 5개의 상, 동지여자고등학교는 무려 2개의 단체상을 받게 되어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은 과학적 소양을 기를 수 있었고, 교사들에게도 분명 더 발전할 수 있는 경험이 되었으리라 생각합니다. 가치 있는 경험을 얻은 그 과정에 대해 이번 글에 적어볼까 합니다. 동지여자고등학교에서는 동아리를 중심으로 다양한 과학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매해 열리는
6
곽재식작가
“백관의 왕이 이르니”는 판타지와 SF 단편들이 두루두루 섞여 있는 소설집이다. 그 중에서 “성간 행성”은 제목부터 SF다움을 물씬 내뿜을 뿐더러 내용도 SF 다운 소재로 가득 차 있는 단편이다. SF 중에는 in medias res 그러니까, 중간에서 막바로 시작하기 수법을 사용해서 독자와 일종의 수수께끼 대결을 하는 이야기들이 종종 있는 편인데, 이 소설도 그렇게 출발한다. 예를 들어, 만약에 “나는 꼬리를 꺼내서 자랑했다. 그러자 상대방은 ‘그런 꼬리는 처음 보는데’라고 소리쳤다.”라는 말로 시작하는 소설이 있다고 치자. 사람은 꼬리가 없기 때문에 처음 읽으면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리인가 싶을 것이다. 중간에서 막바로 시작하기 수법을 썼기 때문에, 소설 앞부분에서 차근차근 누가 왜 이런 소리를 하는 것이라는 설명은 나와 있지 않다. 대신 소설을 읽다 보면 조금씩 이야기가 펼쳐지는 것을 따라 가면서 이야기 속 세상에 대해 여러 가지 정보와 단서를 얻게 된다. 그러면서 독자는 이런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는 고급 과학 콘텐츠의 창출과 보급, 과학 문화 확산을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올바른 과학적 세계관 정립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취지로, 과학자, 과학도, 그리고 과학에 관심 있는 대중 모두가 과학적 사고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APCTP 2024 올해의 과학도서’ 10권을 선정하였습니다. □선정위원 명단 손승우(한양대학교), 이은희 (과학커뮤니케이터), 정민섭(한국천문연구원), 장홍제(광운대학교), 정우현(덕성여자대학교), 최진영(마포출판문화센터), 김항배(한양대학교), 이충환(동아에스앤씨), 이권우(도서평론가) 총평 최근 과학책 출간 동향을 보면, 독자집단은 과거 인문학과 사회과학이 했던 역할을 과학계가 융합적으로 실천하기를 바라는 듯하다. 기본적으로 과학사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학문적 업적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기를 바란다. 이른바 교양과학 분야에 해당한다. 다음으로는 동시대에 벌어지는, 그래서 미래가치가 있는
4
APCTPAPCTP
구미어린이과학체험관(양포도서관)에서 2024년 8회 올해의 과학도서 저자강연이 개최되었습니다. [기술에게 정의를 묻다] 강연으로 한양대학교 이채리 교수님의 강연이 개최되었습니다. 알기쉽게 설명해주는 과학 도서 강연을 들으러오세요!
독자님의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 는 필수항목입니다
첨부파일은 최대 3개까지 가능하며, 전체 용량은 10MB 이하까지 업로드 가능합니다. 첨부파일 이름은 특수기호(?!,.&^~)를 제외해주세요.(첨부 가능 확장자 jpg,jpeg,png,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