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의 제10대 소장으로 세계적인 이론우주론의 석학, 미사오 사사키(Misao Sasaki) 교수가 취임했다. 일반상대론적 우주론 분야를 개척해온 그는, 소장으로서 APCTP가 이론물리학 연구의 글로벌 허브로 더욱 도약할 수 있도록 비전과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사사키 소장에게 APCTP의 미래, 그리고 그가 걸어온 과학자의 길에 대해 직접 이야기를 들었다. Q1. Please introduce yourself briefly.
Q1. 간단히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I'm a theoretical physicist, working mainly in cosmology, particularly in the area of general relativistic cosmology.
안녕하세요, 저는 이론물리학자이며, 주로 일반상대론적 우주론을 중심으로 한 우주론 분야에서 연구하고 있습니다.
Q2. Would you please explain in a bit more detail about your research field?
Q2. 연구 분야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Cosmology as a physical science is a relatively new area of research. It studies how the Universe was born and how it evolved to what we see today. It involves all possible length scales, from the smallest scale where quantum gravity plays the dominant role (~ 10^{-33} cm), to the largest observable scale of the Universe (~ 10^{28} cm). This implies cosmology contains all possible interesting physical phenomena.
물리학의 한 분야로서의 우주론은 비교적 새로운 연구 분야입니다. 우주론은 우주의 탄생과 진화 과정을 탐구하며, 오늘날 우리가 관측하는 우주의 모습에 이르기까지의 변화를 연구합니다. 이는 양자중력이 지배적인 초미세 스케일(약 10^-33cm)부터 관측 가능한 우주의 최대 규모(약 10^28cm)에 이르기까지 모든 길이 척도를 포괄하며, 이는 곧 우주론이 물리학의 거의 모든 흥미로운 현상을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Q3. How did you get to know APCTP for the first time?
Q3. APCTP를 처음 알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I was invited to attend one of the earliest workshops held at APCTP, when PIC was not existing yet. So it was more than 25 years ago.
PIC(Physics in Korea)가 설립되기 이전, APCTP에서 개최된 가장 초기 워크숍 중 하나에 초청을 받아 참석한 것이 처음이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25년이 훨씬 지난 일이죠.
Q4. Do you have any concrete plans or aspects to be emphasized to realize your vision as the new APCTP president?
Q4. 신임 APCTP 소장으로서의 비전 실현을 위해 강조하고 싶은 점이나 구체적인 계획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I want to expand APCTP's current research network in both depth and scale. One of my plans is to establish a student internship program. Another is to encourage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not limited to the AP region but worldwide.
현재 APCTP가 보유한 연구 네트워크를 더욱 심화하고 확장하는 것이 제 비전입니다. 구체적인 계획으로는 학생 인턴십 프로그램을 새로 마련하고자 하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넘어 전 세계를 아우르는 국제 공동연구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고자 합니다.
Q5. You finished your graduate study in late 70s - early 80s. Why did you decide to study your own field at that time?
Q5. 박사 과정을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에 마치셨습니다. 당시 해당 분야를 선택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The epoch from Late 70s to early 80s was when various unified theories of the elementary particle interactions were proposed and people began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its implications to/from cosmology. I was studying general relativity. Since only very few people were taking account of general relativity in cosmology, Then I thought I applying general relativity to cosmology would be not only necessary but also intriguing.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은 소립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려는 다양한 통일 이론이 제안되던 시기였습니다. 동시에 이러한 이론들이 우주론과의 연결성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했죠. 저는 일반상대성이론을 공부하고 있었고, 당시만 해도 일반상대성이론을 우주론에 적용하는 연구자는 거의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 분야가 앞으로 반드시 필요해질 것이며, 동시에 매우 흥미로운 분야가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Q6. You have a huge number of publications. What do you think your most scientifically important works are? Are there any other papers you have special memories of?
Q6. 많은 논문을 발표하셨는데, 과학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연구성과는 무엇인가요? 혹은 특별한 기억이 담긴 논문이 있다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One of my important works is "Large Scale Quantum Fluctuations in the Inflationary Universe" (1986). Another is "The Gravitational Reaction Force
on a Particle in the Schwarzschild Background" (2001). One another which is not only important but also memorable is "A general proof of the conservation of
the curvature perturbation" (2005). I learned from one of the collaborators the importance of explaining logical steps as simple as possible but in detail.
중요한 연구성과 중 하나는 “Large Scale Quantum Fluctuations in the Inflationary Universe” (1986)입니다. 또 하나는 “The Gravitational Reaction Force on a Particle in the Schwarzschild Background” (2001)입니다. 이외에도 과학적으로 의미 있으면서도 개인적으로 기억에 남는 논문은 “A general proof of the conservation of the curvature perturbation” (2005)입니다. 이 논문에서는 공동 연구자 중 한 분으로부터 논리적인 흐름을 가능한 한 간단하지만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배웠습니다.
Q7. What was the crisis you faced during your career, and how did you overcome it?
Q7. 연구자로서 위기를 겪었던 순간이 있었다면, 어떻게 극복하셨는지 궁금합니다.
As it is the case for almost everyone, it was when I was a postdoc. Fortunately I got a tenured faculty position two and a half years after my PhD. I was already married and had two kids at that time. So if I didn't get it for another year or so, I would have quitted physics.
아마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그랬듯, 저 역시 박사 후 연구원(Postdoc) 시절이 가장 힘들었던 시기였습니다. 다행히 박사학위 취득 2년 반 만에 정년트랙 교수직을 얻게 되었고, 당시 저는 이미 결혼을 했고 두 아이도 있었습니다. 만약 1~2년 내에 자리를 얻지 못했다면 물리학을 떠나야 했을지도 모릅니다.
Q8. What do you think the most exciting branches of physics will be in the near future? And why do you think so?
Q8. 앞으로 가장 흥미로운 물리학 분야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In terms of areas of research, cosmology is definitely one of them. So many observational projects are either ongoing or planned, and we hear new and surprising reports almost everyday. Quantum information theory is also something that might replace what we call "theoretical physics" today. Related to it, it may be that the tools like AI and ML may become most important mathematical tools in physics, perhaps in not so distant future.
우선 연구 분야 측면에서 볼 때, 우주론은 분명히 가장 흥미로운 분야 중 하나입니다. 현재도 수많은 관측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향후 계획된 프로젝트도 많습니다. 덕분에 매일같이 새로운 발견과 놀라운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죠. 또한, 양자정보이론 역시 앞으로 우리가 ‘이론물리학’이라고 부르던 틀을 바꿔놓을 수도 있는 분야입니다. 더 나아가 AI(인공지능)나 ML(기계학습)과 같은 도구들이 머지않아 물리학의 핵심 수학적 도구가 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Q9. Please leave comments to the youngsters who wish to be scientists.
Q9. 과학자를 꿈꾸는 청년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다면요?
It's important to focus on a topic of your interest, and study it in depth. But at the same time, it's often more important to keep your eyes wide open, meaning that you should keep an eye on developments in the other areas. Similarly, it'll be nice if you can enjoy the daily life physics, that is, try to explain a phenomenon you encounter in daily life in terms of simple physics. For example, what is the highest frequency of electromagnetic waves that can penetrate clouds in the atmosphere?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주제에 몰입해 깊이 있게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시야를 넓게 가지는 것이 더욱 중요할 때도 많습니다. 다시 말해, 다른 분야에서 벌어지고 있는 발전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뜻입니다. 또한, 일상 속 물리학을 즐기는 자세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일상에서 마주치는 현상을 단순한 물리 개념으로 설명해보는 것이죠. 예컨대, 구름을 뚫고 대기를 통과할 수 있는 전자기파 중 가장 높은 주파수가 무엇인지 고민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5
독자님의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 는 필수항목입니다
첨부파일은 최대 3개까지 가능하며, 전체 용량은 10MB 이하까지 업로드 가능합니다. 첨부파일 이름은 특수기호(?!,.&^~)를 제외해주세요.(첨부 가능 확장자 jpg,jpeg,png,gif)